본문 바로가기

공부

(3)
[산업공학도의 반도체?] 02. 물성 분석 장비 안녕하세요. 방깎노입니다. 이번 시간엔 지난 번 물성 분석 내용과 관련돼서,어떻게 물성분석을 하는지, 어떤 장비를 활용하는지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1. 분석은 어떻게? 재료의 물리적 성질을 분석하기 위해선 '분석 장비'가 필요합니다. 분석 장비의 분석 순서는 3단계로 간단하게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1) 특정 요소 (빛, 전자빔, 물리적 힘 등)을 분석 대상에 가해준다. 2) 가해진 요소와 분석 대상이 상호작용한다.3) 상호작용의 결과를 읽어(detection) 원하는 물성을 알아낸다. 이렇게 보면 간단하죠?하지만, 사실 정말 다양한 장비들이 있고, 각 장비마다 분야도 정말 깊어 어렵습니다...ㅠㅠ 그래도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어떤 장비들이 있을까? 아까 파트에서 말..
[산업공학도의 반도체?] 01. 물성 분석이란? 안녕하세요. 방깎노입니다. 이번 시간엔 제가 회사에 들어와서 하고있는 반도체 산업에서의 '물성 분석' 업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물성 분석이 뭐길래?물성이라는 단어, 익숙하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생소하게 느껴지는 분들도 계실 거예요. (사실 저도 회사에 들어와서 처음 들었던 단어입니다...ㅎㅎ;;) 물성이란 쉽게 말해 재료의 물리적 성질을 뜻합니다. 일상에서 떠올릴 수 있는 물성에는 강도, 탄성, 무게(질량) 같은 것들이 있어요. 그런데, 왜 굳이 물성을 분석할까요? 예를 들어,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핸드폰을 생각해볼게요. 핸드폰의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무게가 무겁다면 사용하기 불편하겠죠? 그런데 핸드폰을 구성하는 케이스나 반도체 칩 같은 것들의 무게가 가볍다면? 핸드폰 자체가 가벼워져서 사용성..
공부 카테고리 개요 안녕하세요. 방깎노입니다. 새로 '공부'라는 카테고리를 생성해서 글을 작성해볼 예정인데요. 저는 대학시절 '산업공학'을 전공했지만, 지금 하고있는 일은 반도체 분야에서 물성분석을 하고있습니다.전공 내용과는 조금 무관한 일을 하고있는지라 처음 적응에 힘이 들었지만, 지금은 그래도 그럭저럭 일을 하고있습니다..ㅎㅎ.. 그래서 제가 지금까지 배웠던 내용들에 대한 복습도 할 겸,저와 같은 반도체 관련 전공이 아닌 타전공에서 반도체 산업에 도전하실 분들을 위해 공부 카테고리를 만들고자 합니다! 제가 쓴 내용들이 기초가 부족하고, 부정확한 내용일 수도 있으니 혹시 틀린 점이 있다면 댓글로 말씀해주시면 피드백 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 XRD 분석2. XPS 분석3. Device 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