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방깎노입니다.
이번 시간엔 지난 번 물성 분석 내용과 관련돼서,
어떻게 물성분석을 하는지, 어떤 장비를 활용하는지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1. 분석은 어떻게?
재료의 물리적 성질을 분석하기 위해선 '분석 장비'가 필요합니다.
분석 장비의 분석 순서는 3단계로 간단하게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1) 특정 요소 (빛, 전자빔, 물리적 힘 등)을 분석 대상에 가해준다.
2) 가해진 요소와 분석 대상이 상호작용한다.
3) 상호작용의 결과를 읽어(detection) 원하는 물성을 알아낸다.
이렇게 보면 간단하죠?
하지만, 사실 정말 다양한 장비들이 있고, 각 장비마다 분야도 정말 깊어 어렵습니다...ㅠㅠ
그래도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어떤 장비들이 있을까?
아까 파트에서 말씀드렸던 순서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장비 | Input | 상호작용 | Output | 분석 결과 |
XPS | X-ray | 광전자효과 | 광전자의 운동에너지 | 조성, 화학 결합 상태 |
SIMS | Primary ion beam | 이차 이온 방출 | 방출된 이차 이온의 질량/에너지 | 조성, 깊이 프로파일 |
APT | Electric field & laser | 이온화 및 필드 증발 | 원자 위치 및 원소 식별 | 3D 원소 분포 |
Raman | Laser | 광산란(라만 산란) | 산란된 광 신호 | 분자 구조, 결합 상태 |
FT-IR | IR light | 분자 진동 흡수 | 흡수된 IR 신호 | 화학 결합 종류 |
XRD | X-ray | X선 회절 | 회절 패턴 (2θ) | 결정 구조, 격자 상수 |
TEM | Electron beam | 전자 투과 및 산란 | 이미지 & 회절 패턴 | 결정 구조, 결함 |
EBSD | Electron beam | 전자 후방 산란 | 회절 패턴 | 결정 방향성, 결정립 크기 |
XRR | X-ray | X선 반사 | 반사 강도 | 두께, 밀도, 거칠기 |
AFM | AFM tip | 기계적 접촉(탐침) | 표면 높낮이 데이터 | 표면 거칠기 |
SEM | Electron beam | 전자 산란 | 표면 이미지 | 표면 형상 |
Wafer Curvature | Laser/Optical | 기판 휨 측정 | 곡률 반경 | 응력(잔류 응력) |
4-point Probe | Current | 전류 흐름 | 시트 저항 | 시트 저항 |
Ellipsometry | Polarized light | 편광 변화 | 반사율, 위상 변화 | 막 두께, 굴절률 |
PL | Laser | 광 발광 | 발광 스펙트럼 | 결함 상태, 밴드갭 |
XRF | X-ray | 형광 방출 (X-ray fluorescence) | 방출된 형광 X-ray | 조성 (원소 식별) |
대략 제가 알고있는 분석 장비들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중에서 제가 했던, 그리고 하고있는 분야는 XRD/XRR/XPS 인데요.
다음 시간부턴 XRD를 시작으로 정리 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공학도의 반도체?] 01. 물성 분석이란? (0) | 2025.04.27 |
---|---|
공부 카테고리 개요 (0) | 2025.04.27 |